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동산 사기 사례와 예방법

by 3mona 2025. 9. 7.

부동산 사기 사례와 예방법
부동산 사기 사례를 참고해 예방해보자

 

부동산 거래는 일반 소비자에게 금액이 크고 구조가 복잡해 사기 피해가 발생했을 때 돌이키기 어려운 일이 많습니다. 특히 전세 사기, 유사소유권 사기, 명의도용 사기 등은 서류 한 장, 확인 한 번 부족해서 수천만 원을 잃는 경우가 빈번하죠.

이 글에서는 실제로 자주 발생하는 대표 사기 사례 3가지와, 각각을 예방할 수 있는 실질적 대응 팁을 함께 정리합니다.

1. 전세 사기 - ‘실소유자 아닌 자와 계약’, ‘보증금 못 돌려받는 경우’

전세 사기는 피해 금액이 가장 크고,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들이 많이 당하는 유형입니다.

  • 집주인이 아닌 사람이 임차인과 계약
  • 갭투자자가 다수의 세입자를 들인 후 보증금 미지급
  • 경매 예정인 주택에 계약
  • 확정일자 없이 계약하여 우선변제권 상실

예방법:

  • 계약 전 등기부등본 확인 → 진짜 집주인인지 확인
  • 계약 당일 전입신고 + 확정일자 동시 처리
  • 시세보다 현저히 싸면 일단 의심부터
  • 융자 비율 확인 → 보증금 반환 능력 판단

계약 전 등기부등본과 전입세대 열람원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2. 유사소유권 사기 - 명의자 행세하거나, 지분 일부만 가진 자의 계약

법적으로 소유권이 없거나 불완전한 자가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입니다.

  • 공동명의 부동산에서 단독 계약
  • 상속 미정리 상태에서 허위 계약
  • 위임장 없이 제3자가 소유자 행세

예방법:

  • 등기부등본의 소유자와 계약 당사자 이름 일치 여부 확인
  • 공동명의 시 전원 서명 필수
  • 대리계약 시 위임장 + 인감증명서 + 신분 확인 전화
  • 계약금 송금은 반드시 소유자 명의 계좌로만

서류상의 작은 불일치가 전체 계약 무효로 이어질 수 있으니, 모든 명의자를 명확히 확인하세요.

3. 투자자 대상 사기 - 허위 분양, 유령 부동산, 리모델링 허위 광고

투자 목적의 부동산 사기는 과장 광고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허위 모델하우스
  • 미등기 토지 분양
  • 허위 확정 수익 보장

예방법:

  • 현장 실사 + 등기부, 토지이용계획서 확인
  • 임대차 상대방 실존 여부 확인
  • 시행사 재무제표 + 법인등기부 열람
  • “마지막 한 세대”, “확정수익” = 90% 사기 가능성

투자용 부동산일수록 조사와 검증을 더 꼼꼼히 해야 합니다.

부동산 사기의 공통점은 계약 전에 조금만 더 확인했으면 피할 수 있었던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사기꾼들은 ‘급하게 계약을 유도’하고, ‘서류를 복잡하게 말로 대체’하며, ‘상식 밖의 조건’을 ‘기회’처럼 포장합니다.

사기 자체보다 더 무서운 건, 경험 부족, 확인 부족, 질문하지 않는 태도입니다. 서류 열람, 등기 확인, 본인 명의 계좌 확인… 단순하지만 기본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10억짜리 사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